임하리(b.1994)는 상상의 존재 '털난빵'을 중심으로, 감각과 정서에 기반한 회화적 서사를 전개한다. 귀엽고도 기묘한 이 형상은 작가가 임신, 출산, 육아의 과정을 거치며 경험한 내밀한 감정들을 상징화한 결과물이다.
작가는 일상에서 쉽게 지나치는 대상들—시간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질감과 형태, 한 순간이 저물어가는 자리에서 시작되는 다른 순간—에 주목한다. 세계를 '완성된 것'과 '미완의 것'으로 나누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변화와 생성의 과정 자체를 긍정한다. '털난빵'은 이러한 관점의 전환 속에서, 언어화되기 어려운 사랑의 감각을 담아낼 회화적 그릇으로 탄생했다.
임하리는 에어브러시와 붓을 번갈아 사용하며 대기처럼 흐르는 배경과 촉각적 질감을 대비시킨다. 캔버스 위에서 털난빵의 윤곽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고, 주변 공간과 부드럽게 스며들듯 연결된다. 작가는 의도적으로 형태의 경계를 흐릿하게 처리함으로써, 존재와 비존재, 실재와 상상 사이의 중간 지대를 시각화한다. 이러한 기법적 선택은 판단을 유예하고 모호함을 포용하는 회화적 태도를 반영한다.
색채는 작가만의 독특한 감각 언어를 구축한다. 분홍빛 보라와 청록의 조합, 파스텔 톤과 깊은 어둠의 병치는 일상과 초월의 경계를 흐린다. 털난빵을 둘러싼 공간에는 별, 꽃잎, 물방울 같은 요소들이 떠다니며, 그림이 감정이 부유하는 심리적 공간임을 암시한다.
쉽게 지나치는 것들 속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미성숙함을 긍정하며, 변화의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은 부드러운 위안을 건넨다.
최근 개인전으로는 ≪A Person with a Living Bird in Their Heart, Shalom Shalom, Taipei, 2025≫가 있으며, ≪하우스워밍 함께, ICG Seoul, 2025≫, ≪Living Forms, 플레이리스트, 부산, 2025≫ 등의 단체전을 통해 작업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박영 더 쉬프트 9기, 갤러리박영, 2024≫, ≪최초예술지원, 서울문화재단, 2019≫에 선정되었으며, 작품은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박물관과에 소장되었다.
Im Hari (b. 1994)
Im Hari (b. 1994) develops painterly narratives centered around the imaginary being "털난빵" (Furry Bread), grounded in sensation and emotion. This endearing yet uncanny figure emerges as a symbolic crystallization of the intimate feelings the artist experienced through pregnancy, childbirth, and motherhood.
The artist attends to easily overlooked presences in daily life—new textures and forms created by the passage of time, moments beginning where others fade. She steps beyond the binary that divides the world into "complete" and "incomplete," affirming the processes of transformation and generation themselves. Within this shift in perspective, "털난빵" was born as a painterly vessel to hold the sensation of love that resists language.
Im Hari alternates between airbrush and paintbrush, contrasting atmospheric, flowing backgrounds with tactile textures. On the canvas, the contours of 털난빵 remain deliberately undefined, softly merging with surrounding space. By intentionally blurring formal boundaries, the artist visualizes an intermediate zone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reality and imagination. This technical choice reflects a painterly attitude of suspending judgment and embracing ambiguity.
Color constructs the artist's unique sensory language. The combination of pinkish purple and turquoise, the juxtaposition of pastel tones with deep darkness, blurs boundaries between the everyday and the transcendent. Elements like stars, petals, and water droplets float in the space surrounding 털난빵, suggesting the painting as a psychological space where emotions drift.
Her vision—finding beauty in what is easily passed over, affirming immaturity, and observing moments of transformation as they are—offers gentle comfort.
Recent solo exhibitions include ≪A Person with a Living Bird in Their Heart, Shalom Shalom, Taipei, 2025≫. The artist continues to present work through group exhibitions such as ≪Housewarming Together, ICG Seoul, 2025≫ and ≪Living Forms, Playlist, Busan, 2025≫. Selected for ≪Park Young The Shift 9th, Gallery Park Young, 2024≫ and ≪First Art Suppor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19≫. Works are collected by the Museum Division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Culture Headquarters.
개인전
2025 A Person with a Living Bird in Their Heart, Shalom Shalom, Taipei
2024 나의 팔에 인덱스, 예술공간 의식주, 서울
2023 Soft Sync, 이촌화랑, 서울
2023 오늘도 여전히, 예술공간 의식주, 서울
2020 착색된 감각, 갤러리도스, 서울
그룹전(*selected)
2025 아뜰리에 아키 15주년 전시, 아뜰리에 아키, 서울
하우스워밍 함께, ICG Seoul, 서울
Living Froms, 플레이리스트, 부산
2024 우리는 산을 넘어갈 때마다, 갤러리박영, 파주
2024
소중하고 아름다운, 빠르크, 서울2024
다정한 무리들, PBG 갤러리, 서울2023 Winter Show, 페리지갤러리, 서울
2023
이주, 예술공간 의식주, 서울2022 이상한 나라의 유우머, Gallery TYA, 서울
2021
Side by Side Art Festival, 스타필드 고양, 센트럴아트리움, 고양2021 The Evidence of the Art, Art Space Isaek, 서울
2020 Cutting Edges 12 New Printmakers, Space Nine, 서울
아트페어
2025 Westbund Art & Design, Sanghai
2025 화랑미술제, 서울
2025 KIAF, 서울
2025 아트부산,부산
2024 화랑미술제, 서울
2024 KIAF, 서울
선정&레지던시
2024 박영 더 쉬프트 9기, 갤러리박영
2021 Artist canvas online residency, 아티스트캔버스, UNIST
2019 서울문화재단 최초예술지원 선정, 서울문화재단
2018-2019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예술가 레지던시 2기 작가,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소장처
서울특별시 문화본부 박물관과
박영장학문화재단
BFA 2018 Sejong University, Painting
Solo Exhibitions
2025 A Person with a Living Bird in Their Heart, Shalom Shalom, Taipei
2024 Index on My Arm, The Necessaries, Seoul
2023 Soft Sync, Gallery Ichon, Seoul
2023 Today, as Ever, The Necessaries, Seoul
2020 Colored Senses, gallery Dos, Seoul
Group Exhibitions (*selected)
2025 Housewarming Together, ICG Seoul, Seoul
Living Forms, Playlist, Busan
2024 We Cross The Mountain Every Time, Gallery Bakyoung, Paju
2024
My Dearest, PARK.Seoul2023 Winter Show, Parrige Gallery, Seoul
2023
Migration, The Necessaries, Seoul2022 Humor in Wonderland, Gallery TYA, Seoul
2021 Side by Side Art Festival, Central Artlium Starfield, Goyang
2021
The Evidence of the Art, Art Space Isaek, Seoul2020 Cutting Edges 12 New Printmakers, Space 9, Seoul
Art Fair
2025 GALLERIES ART FAIR, Seoul
2025 KIAF, Seoul
Art Busan, Busan
2024 GALLERIES ART FAIR, Seoul
2024 KIAF, Seoul
Awards & Residencies
2024 The Shift 9th, Gallery Bakyoung
2021 Artist canvas online residency
2018-2019 Han-Sung University Campus Town Artists Residency
2018 Selected for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First Arts Suppor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Collection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useum Department
Bakyoung Scholarship and Cultural Foundation